연세대 입니다. 반의 학생도 원하는 학교라서 다뤄볼까 합니다.
국제형이 종합에 있긴한데 일반고 대상은 아니라서 다루지 않겠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점수가 잘 나온건지 판단이 잘 안서서 그러신 건데 연세대 피셜
내부 검토시 일반 학과의 경우 Z점수 1.5~1.7이 합격군, 치대 약대는 1.7~1.9, 의대의 경우 2.0~2.2이 합격군에 몰려있다고 합니다.
내신 1등급인 학생이 지원했는데도 떨어지는 경우가 바로 이 때문입니다.
연세대의 경우 추천형은 일반고 지원 및 합격률이 상당히 높습니다. (감사한 학교)
물론 저희끼리 얘기로는 지방학교를 잘 안뽑아주는 학교라는 인식이 경희대와 더불어 강한 학교이기도 합니다만..
24년도 학생부교과전형(추천형) 의 경우 일반고 등록자 비율이 99.4%
25년도 학생부교과전형(추천형) 의 경우 일반고 등록자 비율이 99.8%
로 일반고끼리 싸움으로 보시면 됩니다.
보기 쉬우라고 제가 내용을 줄여서 보여드리겠습니다.
Q. 일반고에서 전문교과 수강해야 하나요?
A. 필수는 아니고 과목 위계에 맞추어 충실하게 이수하고 있는지가 더 중요
Q. 권장 과목을 이수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있나요?
A. 학교마다 개설의 상황이 다르다고 보여 이수하지 않았다고 불리한 점은 없다.
하지만 개설된 교과를 듣지 않은 학생의 경우는 불리하다.
하지만 위계를 해치면서까지 공동교육으로 수강할 필요는 없음.
예를 들어 미적분이나 물리학2 개설되었지만 듣지 않은 공과, 이과 지원학생은 불이익
Q. 진로 변경은 감점사항인지?
A. 자연에서 -> 인문계열로 오는건 부정적으로 보긴함. (유리하게 들어오려고 바꾸지 않았을까? 라는 의심)
계열적합성을 더 중요시하기에 계열내에서 바뀌는 건 큰 문제가 없음. 진로관련 과목이수가 더 중요함.
Q. 사범대학은 봉사시간을 많이 보나요?
A. 봉사활동의 비중이 크지 않고, 평균만 하면 됨. 사회복지학과의 경우가 주로 봉사시간이 높은 편임.
Q. 면접에 학생부 기반 질문이 있나요?
A. 없습니다.
Q. Z점수의 반영정도는 다른가요?
A. 과목별 보정을 두진 않고, 이수 단위별로 따집니다.
Q. 캠퍼스 내 전과는 가능한가요?
A. 전과는 어렵다고 봄. 전과보다는 복수전공을 추천함.
Q. 수의대 학생부인 학생이 의대나, 약대를 종합으로 쓴다면?
A. 같은 계열로 본다 약대나 의대에서 요구하는 권장과목을 다 들었다면 크게 문제 없을것으로 판단함.
Q. 신설되는 진리자유학부에서 중요하시 하는점?
A. 계열 기반한 활동과 활동에 대한 충실성
Q. 추가로 세특에 대하여 팁이 있다면?
A. 종합전형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학생의 성적입니다. ( 공부하라는 뜻이져! )
성적 다음으로 세특을 바라보게 되는데 성적이 나쁜데 세특이 좋다고 역전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진정성이 드러나게 적힌 세특을 중요시합니다. 학생들이 모습이 보였으면 합니다.
Q. 같은 과목을 정규교육과정/공동교육과정 이수단위의 차이가 있나요?
A. 없습니다.
Q. 특정 과목이 떨어지는 학생은 감점이 큰지?
A. 편중하여 학습하는 학생이라고 판단될 경향이 높음. 사정관 마다 다르게 볼 수는 있음.
연세대 아무래도 이름값이 있듯 전형을 하나 하나 보는게 중요한 듯 합니다.
오늘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 정도로 마무리 하겠습니다. ㅎㅎ
더 많은 팁 보기